-
2025년 3월 24일부터 서울 강남·서초 지역을 중심으로 토지거래허가제가 대폭 강화되었습니다. 특히 실거주 목적이 핵심 기준으로 추가되면서, 단순 매매를 목적으로 한 거래는 사실상 어려워졌습니다. 이번 조치는 부동산 시장 과열을 사전 차단하고, 실수요자 중심의 시장 질서를 확립하기 위한 핀셋 규제로 해석됩니다.
📍 적용 대상: 강남·서초 자연녹지 및 전체 아파트 단지
👉 송파·용산구 아파트 단지까지 확대 포함
👉 총 2,200개 단지, 약 40만 호가 허가 대상
🕒 시행 기간: 2025년 3월 24일 ~ 9월 30일 (총 6개월간)
🔍 기존 토지거래허가제와의 차이점은?
구분기존 토지거래허가제2025년 강화 조치✅ 적용 대상 일부 택지 및 녹지 지역 중심 강남·서초 전체 아파트 + 자연녹지 전면 확대 ✅ 허가 기준 일정 면적 초과 시 허가 필요 실거주 목적 명확히 증빙 필요 ✅ 실거주 의무 허가 후 2년 실거주(단속 미흡) 거주계획서 제출 + 사후 모니터링 강화 ✅ 허가 면적 일부 개발 예정지 강남·서초 전체 지역 약 27.3㎢ 👉 핵심 포인트: 정부가 단순한 면적 규제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거래 목적’ 자체를 들여다보는 구조로 바뀌었다는 점입니다.
📌 포함된 지역은 어디?
서울시가 발표한 구체적인 허가구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 강남구: 개포동, 일원동, 자곡동, 세곡동, 율현동, 대치동, 수서동 (총 6.02㎢)
- 서초구: 방배동, 내곡동, 양재동, 우면동, 염곡동, 신원동, 원지동, 서초동 (총 21.27㎢)
뿐만 아니라 송파구·용산구 전체 아파트 단지도 허가구역에 포함되어,
서울 핵심 4개 구에 위치한 전 아파트 단지가 모두 규제 대상이 됩니다.
🏠 실거주자도 반드시 허가 받아야 함!
실거주 목적의 구매자라 하더라도 아래 조건을 충족해야 매수가 가능합니다.
- 사전에 거래허가 신청 필수
- 입주 예정일, 거주 인원, 전월세 계획 등 구체적인 실거주 계획서 제출
- 승인 후 2년간 실제 거주 이행 필요
- 정부의 사후 모니터링을 통해 위반 여부 지속 점검
👉 단순한 “실거주 예정입니다” 수준의 진술은 통하지 않습니다.
⚠️ 허가 없이 거래하면 어떻게 되나?
허가구역 내에서 허가 없이 매매계약을 체결하거나, 허위 진술로 계약할 경우
강력한 법적 제재가 뒤따릅니다.- 계약 무효
- 2년 이하 징역 또는 2,000만 원 이하 벌금
- 허가 취소 및 부동산 취득 자체 무효 처리
- 정기 모니터링을 통한 실거주 여부 점검
📈 정부가 이렇게까지 나선 이유는?
최근 강남 재건축 단지를 중심으로 투자 수요가 급증하고,
2024년 하반기부터 수도권 집값이 다시 상승 조짐을 보이면서 정부가 사전 규제에 나선 것입니다.- ✅ 강남권 재건축 호재 → 거래량 급증
- ✅ 투자 목적 매수자 증가 → 집값 반등 우려
- ✅ 실수요 중심 시장 조성 필요성 대두
👉 결과적으로 정부는 시장 과열을 사전에 잡기 위한 선제 조치로 이번 허가제 강화를 시행한 것입니다.
✅ 최종 요약 체크리스트
항목내용📌 대상 지역 강남·서초 자연녹지 및 전체 아파트 / 송파·용산 아파트 단지 📆 시행 기간 2025년 3월 24일 ~ 9월 30일 (6개월간) 🧾 거래 조건 실거주 목적 명확히 증빙 → 계획서 제출 및 2년 실거주 의무 ⚠️ 주의사항 허가 없이 매매 시 계약 무효, 형사처벌, 실거주 모니터링 강화 이번 조치는 단순한 부동산 규제가 아니라, 실수요자 중심 시장 질서를 구축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입니다.
매매를 계획하고 있다면, 반드시 거래허가 대상 여부와 실거주 요건을 꼼꼼히 확인하세요.'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종원 더본코리아, '장터광장' 상표권 등록 거절…왜 예산시장 상인들이 분노했나? (0) 2025.05.16 인도 파키스탄 전쟁 핵심 정리와 국제적 파장 (0) 2025.05.10 SKT 해킹 사태와 위약금 논란 정리 ,해지 위약금 면제 가능할까? (0) 2025.05.07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 왜 갑자기 모든 일정을 멈췄나? (0) 2025.05.06 김문수 한덕수 단일화, 보수 대선 후보 단일화는 가능할까? (0) 2025.05.05